SKC는 협력사와의 신뢰를 바탕으로 상생협력 관계를 발전시키고, 협력사를 환경/사회/재배구조(투명경영)의 동반자로 인식하며 협력강화를 통해 상호 지속가능경영체계를 구축해 가는 것을 추구합니다.
협력사와 함께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친환경 물품/서비스 구매를 확대하고, 협력사의 환경관리 역량 향상을 위한 지원체계를 갖추어 교육, 금융, 기술 등의 지원을 통해 동반성장기반의 경제적, 사회적 가치 창출에 앞장 섭니다.
SKC는 2021년을 ESG 경영의 원년으로 선포함에 따라 공급망 관리에 있어 협력사와 함께 제반 법규 및 윤리를 준수하여 공급망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줄여갈 것 입니다. 이는 협력사의 동참과 협조가 필수적으로 요구되어 당사는 거래하는 모든 협력사에 행동규범 준수 동의를 거래의 전제조건으로 하여 사전 동의를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녹색구매
깨끗한 지구환경을 후손들에게 물려주기 위한 우리의 책무를 인식하고, Net Zero 2040을 목표로 기후변화 대응과 환경경영 실천을 위해 친환경 물품/서비스 구매의 확대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2014년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녹색구매 자율협약을 체결하고 지속적인 친환경 녹색구매를 실천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친환경 사업으로 이차전지 관련 소재인 동박 사업을 2020년 편입하여 사업을 확장하고 동박의 소재로 폐구리를 이용하여 자원 재활용에 노력을 하고 있으며, 동박 단위 사업에서는 재활용 원재료 구매 비율이 22년 기준 83.6%이며, 23년 6월 기준으로 84.5%로 유사한 수준에서 개선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녹색 구매 금액 (2015년 ~ 2021년) 5,933억원
- 친환경 인증제품*(Recycle) 사무용품, 건설자재, 생활용품 등
- 우수 재활용 제품(Reuse) 폐지, 폐목재, 포장재 등
- 저탄소 인증 제품(Reduce) 생활용품, 건설자재, 식자재 등
- 에너지 절약 제품 전자 제품 등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규정, 환경기준 적합판정품 및 동등제품
당사와 1차 고객사 내에서 2회 이상 재사용 가능한 일부 물품에 한정하여 구매중인 친환경 구매를 3R(Recycle, Reuse, Reduce)제품과 에너지 절약제품을 주축으로 공사와 유지보수 물품/서비스까지 구매영역을 확장하고, 2022년도부터 SKC뿐만 아니라 SKC의 투자사까지 정책을 확대 운영하여 재활용 원료의 사용으로 실행을 강화해 갈 것 입니다.
-
- 창립일부터 ~2020년도까지
- 493억원
-
- 재활용/재사용 포장재
- MDF/플라스틱 PAD
- 목재/플라스틱/철재 팔레트
-
- 2020년도부타 ~ 2022년도까지
- 3,500억원(투자사 실적편입)
-
- 투자사 친환경 정책 적용
-
원재료 재활용 사용
SK 넥실리스 재활용동(2,000억원)
SKC솔믹스 재활용 Silicon(100억원)
-
재생/폐 연료활용 적용
SK피아이씨글로벌 열스팀 재사용(500억원)
- 물품/서비스로 영역확대
-
- 2022년부터 ~2025년도까지 목표
- 6,000억원(투자사 실적편입)
-
- 투자사 친환경 정책 적용
-
원재료 재활용 사용
SK 넥실리스 재활용동(4,500억원)
SKC솔믹스 재활용 Silicon(150억원)
-
재생/폐 연료활용 적용
SK피아이씨글로벌 열스팀 재사용(800억원)
- 공사/유지보수 친환경 자재 적용
- 기존 구매물품 인증추진
-
- SKC의 협력업체
- SK 피아이씨글로벌
- SK 넥실리스
- SKC 솔믹스
- SKC 하이테크/마케팅
당사는 Quality, Cost, Delivery 중심의 전통적 구매 방식으로 인한 친환경 물품/서비스의 구매확대 한계를 뛰어 넘을 수 있도록 채택 절차에 Incentive를 도입하여 친환경 물품/서비스의 구매가 보다 확대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협력사와 ESG 경영을 통해 환경역량을 강화해 가고 있습니다.
협력사 환경역량 강화 추진 방안
-
협력사 친환경 소통 및 정보공유
- 친환경 추진Consensus
- 친환경 녹색구매 설명회 진행
- 국제동향 및 업계 대응방향 공유
- 친환경 규제에 관한 정보 공유
-
협력사 친환경 평가
- 현황 파악 및 범위 확대 추진
- 협력사 현황 파악 및 객관적 평가
- 친환경 구매에 따라 가점/감점 부여
- 협력사의 자발적인 친환경 관리 유도
-
협력사 친환경 관리
- 관리를 통한 친환경 구매 극대화
- 주기적 협력사 친환경 추진 관리
- 친환경 개선활동 지원 추진
- 협력사 친환경 역량 강화
협력사 동반성장 지원 정책
협력사와의 공정한 거래문화를 만들고 신뢰관계를 형성하여 상호 지속가능경영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협력사에 대한 기술, 금융, 교육 등을 지원하여 협력사의 경쟁력을 높임으로써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지원 프로그램은 SK 관계사 연계 프로그램 및 SKC와 SKC 투자사의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운영을 하고 있으며, SK 관계사 연계 프로그램은 ’21년도부터 SKC 투자사의 협력사까지 확대하여 지원대상의 범위를 확대하였습니다.
협력사 동반성장 지원 정책
구분 |
프로그램 |
개요 |
실적(‘20) |
목표(‘22) |
금융지원 |
SK동반성장펀드 |
협력사에 운용/설비 자금 저금리 대출 지원(IBK연계) |
30억/년 |
40억/년 투자사로 확대 |
결제조건 개선 |
대금 결제 조건을 현금으로 지급 |
SKC/투자사 부분 |
중소기업 100% (2025년) |
기술지원 |
R&D 기술지원 |
SKC/투자사 분석 장비 활용 분석/시험 과정 지원 및 연구인력 파견 R&D기술개발능력 향상을 지원 |
36건 |
지원 협력사 확대 투자사 확대 |
SHE 기술 지원 |
유해/위험요인에 대한 교육 및 안전보건교육 등 SHE 기술 지원 프로그램 운영 |
26건 |
지원 협력사 확대 투자사 확대 |
경영지원 |
신소재 기술기반 오픈 플랫폼 |
Start-up, 사회적기업, 벤처, 중소기업, 협력사, 지역사회 기업을 대상으로 SKC 및 플랫폼 참여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R&D, 경영인프라, 안전/환경 등의 핵심역량 및 산업의 고수를 통한 전문컨설팅을 지원하여 기업의 사업역량 강화를 목표로 운영 |
300여개 전문기관 및 기업 참여 |
기관/참여사 확대 |
커뮤니케이션 |
협력사와 주기적인 간담회 사업현황 및 이슈 공유 상호이해도 증진 |
4개사 |
30개사 |
상시 Open된 채널을 통한 1 on 1 소통 |
- |
신규 구축 |
채용박람회 지원 |
그룹사 연계로 1,2차 협력사 100여개사 대상으로 채용박람회 개최 |
코로나로 미시행 (‘19. 1개사) |
3개사 |
교육지원 |
SK동반성장 CEO 세미나 - MBA 통합과정 |
1차 협력사 대상 경영/경제/인문/사회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CEO Perspective 제고 및 Networking 강화 전략/회계/재무/마케팅/인사/조직 역량 강화 교육 |
24명/17개사 |
30명/30개사 투자사로 확대 |
반도체상생 CEO 세미나 |
반도체 특화된 Biz. Insight와 Tech. Insight 강좌 |
5명/5개사 |
10명/10개사 2,3차 공급사로 확대 |
협력사 신입사원 교육(그룹연계) |
조직 구성원으로서 필요 소양, 직무지식 교육 |
코로나로 미시행 |
|
지원 프로그램은 지속 운영과 동시에 정책을 고도화하여 지원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 및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 확대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1년부터는 지속가능공급망 체계 구축을 위해 동반성장 지원 3단계에 돌입하여 ESG 중심의 공동협력을 강화할 것 입니다. 협력사의 ESG 관리를 지원하고 Risk를 개선하도록 지원할 것이며, 이를 위해 협력사와의 상시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구매시스템에 만들어 의사소통을 강화할 것 입니다. 그리고 지원이 실질적이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CEO 주관 사내 ESG 위원회에서 협력사 ESG 리스크 관리/동반성장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중요 의사 결정 안건의 경우에는 이사회 산하 위원회에서 별도 심의합니다.
협력사 지원 정책 Roadmap
Roadmap - 기존활동은 지속추진 / Upgrade
-
- 1단계('12년부터~16년까지')
- 동반성자 PG고도화
- 금융지원
- 교육지원
- 정기 소통 채널
- 공정거래 윤리실천
- 하도급 공정거래 실천
-
- 2단계('17년부터~20년까지')
- 명절 대금조기지급
- 협력사 채용지원
- SHE 실천 강화
- 국산화 공동개발
- 공정거래 자율준수 Pg.
-
- 1단계('21년부터~25년까지')
- ESG 중심 공동협력 강화
- 경영진 관리책임 부여(관리체계 조직화)
- 공동Pg. 투자사 확대
- 상시 Comm. 채널(협력사 Needs 기반 Pg. 운영)
- 협력사 ESG관리강화 (협력사의 정책준수 의무화 고위험 협력사 개선 프로세스)
- 동반성장 Pg. 2,3차 협력사로 확대
협력사 ESG Risk 지원 정책
SKC는 2021년을 ESG 경영의 원년으로 선포하고 당사와 더불어 모든 협력사를 ESG 경영의 동반자로 인식하여 함께 ESG 경영에 나설 것 입니다. 이를 위해 당사의 ESG 정책을 협력사에 공유하고 모든 협력사를 대상으로 ESG 평가와 개선활동을 준수해 갈 것에 상호 서약하여 ESG 활동을 강화하고 위험성을 제거해 가고 있습니다.
당사의 협력사 ESG 관리는 관리 실행의 강화와 정책의 수정 보완 두 가지 관점으로 운영 합니다.
협력사 ESG Risk 관리/지원 실행 강화
협력사 관리는 기존 QCD 및 사회적 가치 중심으로 평가관리를 하였으나 ‘22년도부터 협력사 역량평가 영역을 ESG 영역으로 확장하여 평가하고, 관리 역량이 낮은 협력사에 대해서는 고위험 협력사로 식별하여 개선 유도 및 개선을 지원해 갑니다.
* 환경 3개, 보건/안전 2개, 노동/인원 7개, 윤리 5개 항목 평가/관리
협력사 ESG 리스크 관리 및 개선 프로세스
- 필요사항
- ESG 평가지표 수립
- Risk 평가 대상 선정
- 자기평가(고위험군 선정)
- 고위험군 현장평가
- Risk Managing 개선지원
- 개선이행 모니터링
협력사 ESG Risk 개선 인센티브 제도
당사는 SK그룹사와 함께 협력사들의 ESG 개선 유도를 위한 인센티브 제도를 운영하며, 협력사의 ESG 진단 수준에 따라 등급화 하여 신한은행과 함께 협력사의 대출 이자 지원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 협력사 ESG 등급별 1.2% ~ 최대 6%
협력사 ESG Risk 지원 목표
SKC는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을 위해 매년 중점관리 협력사 중 거래유형별, 거래규모, 거래빈도, 협력사 규모와 ESG 위험도 사전 평가를 통해 협력사 ESG평가 대상 업체를 선정하여 협력사로부터 ESG 경영 자가평가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협력사 ESG지원은 평가에 그치지 않고 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개선이 필요한 협력사(평가 하위 20%의 고위험군)를 선정하여 방문 실사(1회/2년)를 통해 현장 점검을 수행함과 동시에 협력사 지원 방안 도출 및 협력사에 대한 컨설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SKC는 지속적으로 협력사 ESG 관리 정책을 고도화하고 대상 범위를 확대해 SKC와 협력사 모두 성장,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협력사 ESG Risk 지원 목표
|
2021년 |
2022년 |
2023년 |
목표 |
- ESG 관리 정책 수립/전 투자사 공동 수행
- ESG 평가 협력사 수 : 40개사
- ESG 실행 서약서 수령 : 중점관리 협력사
|
- 협력사 ESG 관리체계 고도화
- ESG 평가 협력사 수 : 100개사
- ESG 실행 서약서 수령 :70%
- 개선/지원 업체 수 : 100%
|
- 대상 협력사 확대 평가/적용
- ESG 평가 협력사 수 : 200개사
- ESG 실행 서약서 수령 :100%
- 개선/지원 업체 수 : 100%
|
주요 Activities |
-
협력사 ESG 관리방안 수립
- 중점관리협력사 선정 기준
- 진단/평가 정책 수립
- 개선/지원 방안 수립
- 주요 협력사 Pilot평가
- 고위험협력사 식별방안 수립
- 중점관리 협력사 ESG 실행 서약서 수령
|
-
최근 1년내 거래업체 평가진행
-
협력사 ESG 관리방안 고도화
- 최근 1년내 거래업체 대상 평가진행
- 21년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협력사
ESG 관리방안 구체화
- 평가/관련 시스템 개선
- 협력사 확대 평가 실행
- 개선 지원 프로그램 개발
- 고위험군 업체 실사 및 개선/지원
- 자가평가 신뢰도 점검
|
- 최근 2년내 거래업체 평가진행
- 협력사 ESG 관리체계 구축/지원
- 지원 및 모니터링 방안 수립
|
실적 |
-
ESG 평가 협력사 수 : 48
- 고위험군 수 : 6 (12%)
|
- ESG 평가 협력사 수 : 97개사
- 고위험군 수 : 37개사 (38%)
- 고위험군 실사 : 3개사
|
|